1. OSI 7 계층
- 나눈 이유 :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1) 물리 계층 -> 케이블, 리피터, 허브를 통해 데이터 전송
- 전기적, 기계적, 기능적인 특성을 이용해서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
- 0과 1(on/off)와 같이 데이터만 전달하며 데이터가 무엇인지, 에러가 있는지 등은 신경쓰지 않는다.
- 대표적인 장비로는 케이블, 리피터, 허브 등이 있다.
2) 데이터 링크 계층 -> 프레임에 주소를 부여하고 에러검출/재전송/흐름제어
- 물리 계층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하여 안전한 정보의 전달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MAC주소를 가지고 데이터를 프레임단위로 전송한다.
- 대표적인 장비로는 브리지, 스위치 등이 있다.
3) 네트워크 계층 -> 주소부여(IP), 경로설정(Route)
-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도록 한다.
- 여기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종류와 라우팅 기술은 매우 다양하다.
- 경로를 선택하고 주소를 정하고 경로에 따라 패킷을 전달해 준다.
- 라우팅, 흐름제어, 세그멘테이션, 오류제어, 인터네트워킹 등을 수행
4) 전송 계층 -> 패킷 생성 및 전송
- 통신을 활성화하기 위한 계층
- 포트를 열어서 응용프로그램들이 전송을 할 수 있게하고 데이터가 오면 해당 데이터를 하나로 합쳐서 5계층에 준다.
- 양 끝단의 사용자들이 신뢰성있는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해주어, 상위 계층들이 데이터 전달의 유효성이나 효율성을 생각하지 않도록 해준다.
- 시퀀스 넘버 기반의 오류 제어 방식을 사용
- 전송 계층은 특정 연결의 유효성을 제어하고, 일부 프로토콜은 상태 개념이 있고(stateful), 연결 기반이다.
- 이는 전송 계층이 패킷들의 전송이 유효한지 확인하고 전송 실패한 패킷들을 다시 전송한다는 것이다.
5) 세션 계층 -> 통신하는 사용자들을 동기화하고 오류복구 명령들을 일괄적으로 다룸, 통신을 하기위한 세션을 확립/유지/중단
- 통신을 하기위한 대문이라고 볼 수 있지만 4계층에서도 연결을 맺고 종료가 가능하기에 4계층과 무관하게 응용 프로그램 관점에서 봐야한다.
- 세션 설정, 유지, 종료, 전송 중단시 복구 등의 기능이 있다.
- 양 끝단의 응용 프로세스가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 동시 송수신 방식(duplex), 반이중 방식(half-duplex), 전이중 방식(Full Duple)의 통신과 함께, 체크 포인팅과 유휴, 종료, 다시 시작 과정 등을 수행한다.
- TCP/IP 세션을 만들고 없애는 책임을 진다.
6) 표현 계층 -> 사용자의 명령어를 완성 및 결과 표현. 포장/압축/암호화
- 데이터 표현이 상이한 응용 프로게스의 독립성을 제공하고, 암호화 한다.
- 코드 간의 번역을 담당하여 사용자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형식상 차이를 다루는 부담을 응용 계층으로부터 덜어 준다.
- MIME 인코딩이나 암호화 등의 동작이 이루어진다.
7) 응용 계층 ->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UI 부분, 사용자의 입출력(I/O) 부분
- 최종 목적지로서 HTTP, FTP, SMTP, POP3, IMAP, Telnet 등과 같은 프로토콜이 있다.
- 응용 프로세스와 직접 관계하여 일반적인 응용 서비스를 수행한다.
3. 참조
1)OSI 7 계층 : https://shlee0882.tistory.com/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