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기 작성 가이드
0. 개요
- 네이버 부스트캠프 웹풀스택 과정 9기를 수료하면서 최종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 이때 네이버답게 AWS가 아닌 네이버의 클라우드 플랫폼인 NCP(Naver Cloud Platform)을 기반으로 진행했다.
- 주어진 크레딧은 30만원으로, 추후 일정 조건에 따라 70만원을 추가로 최대 100만원 까지 크레딧을 얻을 수 있었다.
1. 진행한 프로젝트
- 증권사 API를 활용하는 것이 아닌 사용자간의 매매 거래가 체결되어 시장을 형성하도록 개발하였다.
- 추가적으로 알림 기능, 복권, 랭킹 등의 요소를 넣어서 게임적인 완성도를 높이고자 했었다.
- 프로젝트 링크 : https://github.com/boostcampwm-2024/web13-YeokjeonNongbu
2. Ncloud에서 사용한 서비스
- Server : Server(VPC), Public IP, BLOCK Storage, Global DNS
- DB : Cloud DB for PostgreSQL, Cloud DB for MongoDB, Cloud DB for Redis
3. Ncloud 서비스 이용 내역
- 2번을 보면 유추가 가능하지만, 서버를 구축하고 DB를 구성하는데 주로 사용했다.
4. NCP 서비스 이용 후기
- 좋은점도 있고 나쁜 점도 있지만, 아쉽게도 단점이 다소 컸었다.
- 장점
- 한글로 되어 보기 편하다.
- 문의 처리가 AWS 대비하여 빠른 응답이 온다.
- 개인적으로 어디서 얼마를 썼는지 확인하기에는 AWS 보다 NCP가 더 편했다.
- 단점
- 한글로 적혀있지만 이상하게 영어로 된 AWS보다 서비스나 과금 정책에 대해 이해하기 어렵다는 평이 여러 사람들에게 공통 의견으로 나왔다.
- 비싸다 : 가장 저렴한 옵션을 사용해도 AWS 대비 비쌌다. 특히 DB 관련된 서비스에서 두드러 졌다. 특히 DB를 6주라는 기간을 전부 사용한게 아니라 3주차 부터 PostgreSQL을 사용하고 마지막 1주만 MongoDB를 가장 저렴한 버전으로 사용했는데도, 30만원을 초과해 버렸다. 아무래도 학생 및 수강생 등의 입장에서 별도의 할인이나 포인트가 없다면 사용하기 매우 어려울 것이다...
- 확장 기능이 막혀있다 : Redis를 사용할 때 Redis Config 를 설정할 수 있는 옵션이 제한적이었다. 그래서 원래는 NCP에서 제공하는 Cloud DB for Redis를 사용하려고 했으나, 일부 config 설정이 막혀있어 그냥 서버에 redis를 직접 설치해서 사용했다. PostgreSQL도 마찬가지였다. 확장 기능인 TimeScaleDB를 설치하려고 했으나, 해당 기능을 설치 못하게 제한해두었다.
5. Green Developers 프로그램 참여 소감
- 기존에 AWS에만 익숙해있었는데, 생각보다 사용하기 편리하고 인터페이스도 괜찮았다.
- 특히 문의에 대한 답변이 빨랐던게 매우 인상적이다.
- 간혹 업무 시간 외에도 답변이 오기도 했었다.

- 하지만 단점이 너무 돋보였다고 할 수 있었다.
- 각각의 서비스가 가지는 문제가 서비스 설명에 적혀있던가 보완이 된다면 더 좋을 것 같다.
- 가격문제는 AWS를 기업 수준에서 사용하진 않아봐서, NCP와 정확히 비교하기는 어렵겠지만 학생 수준에서는 부담스러운 점은 어쩔 수 없는 것 같다.